mobile background

2023 3rd IYAC New York Youth Art Competition

Award-Winning Works

The 2023 IYAC New York Youth Art Competition, which is being held for the third time, aims to raise awareness of social issues among participants through creative artworks. It emphasizes the power of art and the value of communication, providing an opportunity to share diverse perspectives and opinions through the medium of art.

2023 IYAC New York Teenage Painting Contest

2023 3rd IYAC New York Youth Art Competition 

Award-Winning Works : 2023 3rd IYAC New York Youth Art Competition

The 2023 IYAC New York Youth Art Competition, which is being held for the third time, aims to raise awareness of social issues among participants through creative artworks. It emphasizes the power of art and the value of communication, providing an opportunity to share diverse perspectives and opinions through the medium of art.

Gold Medal Winning Artworks

  2023 3rd IYAC New York Youth Art Competition aims to provide young artists with a platform to express their thoughts through various forms of art, experiencing the diversity of communication as integral members of society. Hosted by MySLide Corp. and in association with GSEF Foundation, Space 776 Gallery (New York), and supported by Gordon M. Johnson, a New Jersey State Senator, and Chong Paul Kim, the Mayor of Palisades Park, this competition encourages youth to explore and showcase their creativity. The competition was meticulously reviewed and evaluated with transparency and fairness by the judging panel, including Professor Choi Soo-hee from Hongik University (Chair of the Jury), writer Lee Bora, and artist Kim Seung-hyun, who examined the submitted artworks.

Title : Cycle 

Artist : Seungsoo Lim 

Year : 2023

Material / Medium : Acrylic

Size of Artwork : 52.7x40.8cm

Award : Bronze Medal

Description of Artwork :

  A dinosuar died at the beach. Later, trees grew from the dinosaur and it became the forest. A boy came to the forest to cut trees. He adapted to the changed environment. As time goes by, the forest will change. Then, people will also adapt to the new environment. This cycle wil continue.

Title : '디지털 세상 그 어디 쯤에' 

Artist : Chaewon Kim 

Year : 2023

Material / Medium : Oil paint on canvas

Size of Artwork : 53.0cm*45.5cm

Award : Bronze Medal

Description of Artwork :

  나는 ‘변화와 적응’이라는 주제를 생각하면 ‘디지털 문화’가 가장 먼저 떠오른다. 지난 몇 십년 간 디지털 문화는 엄청나게 발전했고, 앞으로도 급속히 변화⦁발전할 것이다. 우리는 그 변화 속에 살아남기 위해 숨 가쁘게 디지털 문화에 적응해 간다. 그래서 나는 ‘디지털화(化)’가 이 주제에 적합하다고 생각했다. 디지털에 적응하는 사람을 표현하기 위해 마이크로소프트 컴퓨터 배경 화면에 컴퓨터를 가지고 생계를 이어가는 사람을 그려 넣었다. 자세히 보면 땅에서 ‘디지털 기기’가 자라고 있다. 농부들이 기후, 토양에 맞춰 생존가능한 식물을 키우듯이 우리도 변화하는 시대에 맞춰 디지털 기기들을 바꾸며 적응해 간다는 뜻이 담겨 있다. 그러나 아날로그를 나타내는 주판과 노트도 그려 넣었다. 디지털 환경의 변화 속도는 너무 빨라서 안타깝게도 모든 사람들이 다 적응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런 부작용을 표현하기 위해 화면 전체에 컴퓨터 모니터가 이상이 있을 때 나타나는 노이즈 현상을 회화적인 붓 자국으로 표현하였다. 나는 내 작품이 빠르게 변화하는 디지털 세상과 그에 적응하기 위해 달려가는 사람들, 그리고 디지털 문화에서 낙오된 사람들이 갖게 되는 문제들에 대해 한 번 생각하게 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좋겠다.

Title : 우리 사회의 그림자 

Artist : Junseo Kim 

Year : 2023

Material / Medium : acrylic, color pencil, watercolor

Size of Artwork : 39.3cm × 54.5cm

Award : Bronze Medal

Description of Artwork :

최근 안타깝게 우리 곁을 떠난 연예인들의 소식을 적지 않게 듣는다. 원인 중 하나라고 여겨지는 악플은 익명성이라는 그늘에 가려진 세균과 벌레처럼 너무나 쉽게 이곳저곳에서 볼 수 있다.  익명성과 악플 등이 어떤 모습으로 우리 사회에서 영향을 끼치는지에 대해 그림으로 표현해보고 싶었습니다. 

사전적인 의미로서의 익명성은 어떤 행위를 한 사람이 누 구인지 드러나지 않는 사회적 특성으로, 이 사회적 특성은 몇십 년 전까지만 해도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는 특성까지 는 아니었지만, 인터넷의 발달과 함께 떠오르게 된 특성이다. 인터넷이 발달하면서 사람들이 뉴스 기사에 익명으로 자기 생각을 댓글로 작성하고, 익명으로 어떤 내용을 유출, 폭로하고, 자신과는 전혀 다른 인격을 가진 사람인 것처럼 인터넷상에서 행세하는 것이 현대사회에서 어렵게 볼 수 있 는 모습은 아니게 되었다.이처럼 인터넷이라는 또 하나의 소통 창구가 생기고 그곳에서 익명성이 자유자재로 활용되면서 변화하는 사회에 적응하는 모습을 비판적으로 표현해보았습니다.

Title : Flows Down to the Hope 

Artist : MinJung Kwon 

Year : 2023

Material / Medium : acrylic on canvas

Size of Artwork : 53.0cm*45.5cm

Award : Bronze Medal

Description of Artwork :

  The focus in exploring the theme of change and adaptation centers around the plight of cats. I utilized an hourglass as a visual representation of the passage of time, with two distinct sections, the top of the glass and the bottom. The top portion portrays the yearning of abandoned cats seeking freedom from surroundings that had threatened their life. Conversely, the bottom part depicts cats finding stability when they are adopted into loving families that provide them with a safe and nurturing home. The threads that weave through the sky symbolize the hope that persists within these cats, even in the face of adversity, for a brighter tomorrow.

Title : 내성 (Tolerance) 

Artist : Minso Kim 

Year : 2023

Material / Medium : Oil paint on canvas

Size of Artwork : 45*53cm

Award : Bronze Medal

Description of Artwork :

뉴욕 허드슨 강은 General Electric사의 다환방향폴리클로리나티드비페닐(PCBs) 방류로 많은 수생 생물들이 피해를 입었다. 이러한 심한 오염에도 불구하고 Frostfish라는 작은 대구과 물고기는 새로운 환경에 자신의 신체를 적응시켜 생존하게 되었다. 그 결과, 허드슨 강에서 서식하는 어류가 흡수한 독성물질은 기형아 출생과 암 발병 위험을 증가시킬수 있어 어류 섭취가 제한되어 있다. 이 작품은 자연 서식지가 인간의 활동의 부정적인 영향에 대해 어떻게 적응하는지를 보여준다.


The Hudson River and all the lives in the water suffered from polychlorinated biphenyls discharged by General Electric. Despite the rich toxicity, Frostfish survived by alternating their body system to the new circumstance. Consequently, fish intake from the Hudson River is highly restricted, as the chemicals increase the risk of birth defects and cancer. The work conveys the adaptation of natural habitats to the adverse effects of human activities.

Title : 무수한 우주와, 그런 우주를 따라가는. 

Artist : Chan Kyeong Lee 

Year : 2023

Material / Medium : Oil Paint

Size of Artwork : 53cm X 45.5 cm

Award : Bronze Medal

Description of Artwork :

  이 세상에는 얼마나 많은 변화와 적응이 있을까요? 그리고, 그 과정에서 나는 어떠할까요? 무수히 많은 변화가 가득한 세상에는 그에 맞춰 바뀌는 수많은 적응이 있습니다. 내가 원해도, 원치 않아도 무한으로 늘어가는 변화들은 우주 같다고 생각했고, 그런 우주에 끊임없이 맞춰가야 하는 나 자신은 큐브 같다고 생각했습니다. ‘나’라는 큐브 하나에는 한 칸 한 칸마다 나의 모습이 담긴 수많은 방이 존재하고, 각자의 특성의 그 방들은 재조합되고 다시 재조합되어 변화를 향해 나를 완성합니다. 어느 모양이 정답일지 고민하며 최적의 맞춤을 향해 헤매고 실패하기를 반복하면서 새로운 변화에 적응해 나가는 과정의 자신을 표현하고 싶었습니다.

Title : 도시의 변화와 미래의 개성 

Artist : SOOYEON YOO 

Year : 2023

Material / Medium : Oil pastel and acrylic on canvas

Size of Artwork : 53.0 x 45.5 (cm)

Award : Bronze Medal

Description of Artwork :

이 작품은 현재의 도시 환경 속 단조로운 건물들과 미래의 개성적이며 재미있는 건축물들 간의 대비를 표현한 것입니다. 


아크릴로 그린 도시 속 건물들은 우리가 일상적으로 보는 풍경을 상징하며, 이들은 모두 일상에 대한 익숙함과 적응을 나타냅니다. 그러나 우리는 이에 대해 무심코 적응하고 지나치기 쉽습니다.


오일 파스텔로 그려진 미래 건축물들은 저의 건축 디자이너로서의 상상력과 창의성을 표현한 것입니다. 이 작품은 미래에 더욱 개성적이며 독특한 건물들로 도시를 변화시킬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이 건축물들은 일상에서 벗어나 도시 공간을 화려하게 장식하며, 도시 생활에 새로운 즐거움과 변화를 가져다줄 것입니다.


주변의 단조로운 환경에서 벗어나 이 작품을 통해 보여주는 미래의 건축물들은 대중들에게 상상력과 미래에 대한 희망을 불어넣어 줄 것입니다. 이 작품은 "변화와 적응"이라는 주제와 완벽하게 조화를 이루며, 도시의 미래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과 환경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합니다.


미래의 건축물들은 도시 공간을 환경과 조화 시키며, 사람들에게 즐거움을 주고 일상에서 벗어난 경험을 선사할 것입니다. 이 작품은 변화와 적응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저의 꿈과 열망을 시각적으로 표현한 것입니다.

Title : Daily Life in Dormitory 

Artist : JeongMin Kang 

Year : 2022

Material / Medium : Color pencil on Paper

Size of Artwork : 15(H) x 20(W) in

Award : Bronze Medal

Description of Artwork :

  This work portrays the scenery of my room in the student hall, with an emphasis on perspective. I particularly focused on depicting the room and its items from a specific perspective while sketching this piece. Additionally, by drawing roses outside the window, I aimed to capture a cheerful ambiance.

Title : 심리적 변화와 적응  

Artist : Hyoseo Ryu 

Year : 2023

Material / Medium : Acrylic

Size of Artwork : 45*53cm

Award : Bronze Medal

Description of Artwork :

  이 작품에서 저는 저의 심리적 변화와 적응을 표현했습니다. 살면서 우리는 거의 매분 매초 감정을 느낍니다 그리고 빠르게 바뀌기도 합니다. 이 작품의 배경은 학교이고 거울 안에 아무 감정도 없는 무표정의 저와 여러 가지 감정이 있는 다른 저의 모습이 있습니다. 학교에는 수백 명의 학생들과 수십 명의 선생님 있어서 당연히 저한테 영향을 줍니다. 그 영향이 나쁜 쪽이든 좋은쪽이든 저는 저의 기분이 빠르게 바뀝니다. 예를 들어, 학교에서 친구랑 싸웠을 때나 선생님에게 혼이 났을 때 저는 화가 나기도 하고 슬프기도 합니다 또는 시험을 잘못 봤을 경우 저는 절망스러울 때도 있고, 시험이 잘 봤거나 좋은 일이 생기면 언제 그랬냐는 듯이 웃습니다. 이 작품에서 학교가 배경인 이유도 그렇습니다. 학교에서 많은 일이 일어납니다. 그 일이 만약 정말 저에게 정말 심각하고 저의 마음이 아플지언정 저는 보통 일주일이면 그 일을 잊어버리거나 처음처럼 제 기분이 극단적으로 슬프거나 화가나거나 하지 않습니다. 그런 부분이 심리적 변화의 적응이라고 생각합니다. 처음 큰 변화를 맞닥뜨리면 저는 당황하기도 하고 절망스럽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 감정은 잠시뿐이고 언젠가는 적응해서 아무렇지도 않아진다고 저는 믿습니다. 우리들은 너무나도 큰 상황의 변화, 신체의 변화 혹은 관계의 변화가 일어났을때 그 동시에 우리들의 심리적인 변화가 일어납니다.  감정을 살면서 정말 금방, 빠르게 바뀌고 깊게 혹은 얕게 느끼기도 합니다 그게 뭐가 됐든, 우리는 사람이기 때문에 감정을 느낍니다

Title : Tears of Hope 

Artist : Esther Chae  

Year : 2023

Material / Medium : Acrylic

Size of Artwork : 12 in x 18 in

Award : Bronze Medal

Description of Artwork :

  I sought to depict a scene where a person is submerged in the ocean. As her tears roll down her face, the tears purify the polluted ocean water. I wanted to show that anyone who cares for the environment can save our ocean. I want to share the message with the audience not to let a few try to change the world simultaneously. My painting also portrays people who do not act on climate change and do not think this is a global issue regretting destroying their environment. Let us all care for the environment and save the planet we all share.

Title : 시작 

Artist : Yunseo Lee 

Year : 2023

Material / Medium : Acrylic

Size of Artwork : 53.0 x 45.5 (cm)

Award : Bronze Medal

Description of Artwork :

 어둠과 고요함이 내 눈 앞을 가릴 때, 눈을 감고 익숙한 것들을 찾아 나서다보면, 다시 눈를 떴을 때 눈앞은 밝아지고 새로운 시작이 나를 반깁니다. 물론 그것들은 낯선것들 투성이이지만 그럼에도 우리는 수많은 나날을 맞았고, 또다시 어둠이 찾아올 것을 알기에 또 한 번 일어설 수 있습니다. 당신의 눈은 비춰 주는 빛은 무엇인가요?

Title : Nutrition Time

Artist : Hanseol Lee

Year : 2023

Material / Medium : Wood, Paper, mixed materials. 

Size of Artwork : 30 x 52 (cm)

Award : Bronze Medal

Description of Artwork :

This artwork explores the harmony between time, music, and nature. The clock in the shape of a musical instrument, set on a wooden base, symbolizes the intersection of time and the essence of music. The strings and numbers wrapping the instrument highlight the flow of time, while the sheet music and natural elements in the background convey how art intertwines with life and nature.

Title : Change of lifestyle 

Artist : Ryan Kim 

Year : 2023

Material / Medium : Acrylic

Size of Artwork : 53.0 x 45.5 (cm)

Award : Bronze Medal

Description of Artwork :

  This artwork represents the changes in my lifestyle after the coronavirus pandemic. My mindset underwent a significant transformation after being isolated and enduring feelings of loneliness. I came to the realization that individuals who spent their time without socializing with friends and family developed more mature personality traits compared to those who did not. Therefore, in this painting, I portray two versions of myself to illustrate the dramatic changes that occurred after the pandemic. The upper portion depicts me engaged in a gathering with friends in 2019, while the bottom portion shows me alone, having a drink in 2023. This artwork seeks to portray the impact of diseases on modern lifestyles and the emotions experienced by individuals.

Title : Escapism 

Artist : EunSeong Han 

Year : 2023

Material / Medium : Acrylic on canvas

Size of Artwork : 53.0 x 45.5 (cm) 

Award : Bronze Medal

Description of Artwork :

  This work expresses my desire to escape from a busy city. By expressing the island as an ideal place, I contrasted the busy city with a relaxed and comfortable island. Through using the contrast values in color, I used dark colors for the buildings and the sky in the city. In contrast, I used bright colors in the island part to express the clear distinction between the city and the island.

Title : Symphony 

Artist : Taehoon Kwon 

Year : 2023

Material / Medium : Acrylic on canvas

Size of Artwork : 53.0x45.5 cm

Award : Bronze Medal

Description of Artwork :

  This artwork explores the diverse melodies of various locales. Often, we are immersed in the bustling symphonies of urban life—cars honking, construction sites echoing, and even the neighbor's booming music, disrupting our routines. Meanwhile, the gentle whispers of the wind, the soothing cadence of waterfalls, and the harmonious chorus of different species in nature persist as a contrasting counterpoint. Many individuals transition from nature to urban cities, facing challenges as they adapt to the persistent urban soundtrack. Conversely, the shift from urban clamor to the tranquility of nature can be equally disorienting.

Title : 망(net) 

Artist : ahjin Kim 

Year : 2023

Material / Medium : Watercolor

Size of Artwork : 394 x 545 mm

Award : Bronze Medal

Description of Artwork :

 세상에 완벽한 적응이란 무엇일까?

나는 고등학생이 되면서부터 상대적으로 지나치게 빠르게 가는것처럼 느껴지는 24시간이 조금 벅찼다. 

단단해지고싶은 욕심이 커, 내가 변화에만 집중하기 시작한것이다.


변화는 시도때도없이 일어나고, 또 나는 그러한 변화에 내 신체를 맞춘다.

맞춰진 신체들은, 본래 살들의 시선에선 ’또다른변화‘가되어 돌아온다. 그렇게 끊임없이 나는 틀에 맞춰가지는것이지, 적응을 하는것으로는 보이지않는다.

이렇게 무한히 순환되는 변화의 과정을 그림에 담아내고 싶었다.


그림속 사람들은 옥죄어오는 압박스타킹에 괴로워하는 듯 보이나, 사실 이 망 속 살들은 시간이지나면 압력에 못이겨 툭 툭 튀어나올수밖에 없다. 

그렇게 압박에서 살아남는, 적응을 시작한 살들과 아직 변화를 겪어나가는 살들이 공존하며 한사람 한사람의 얼굴을 만든다. 


이그림을 아주멀리 떨어져서 본다면, 재미있게도 ’양파망 속에 들어있는 눈코입의 커다란 살덩어리‘ 를 떠올릴수도 있을것이다. 이또한 ‘적응은 무엇일까’라는 질문의 정답이다.

Title : Self-care 

Artist : Riwon Jang 

Year : 2023

Material / Medium : Acrylic paint on canvas

Size of Artwork : 53 x 45.5 cm

Award : Bronze Medal

Description of Artwork :

  To reflect on the theme “change and adaptation”, I decided to paint a piece that shows my process of loving myself. In each panel, there are different scenes of myself introducing how I maintain well-being to change my pessimistic mind and become a better person. To represent the constructive changes in my life, I included the characters in panels two and four that symbolize the vulnerable features that I previously had. On top of that, to exaggerate the positivity, I adapted the pop-art style to utilize the saturated colors and patterns. Furthermore, by choosing a style that apart from realism, I wanted to emphasize the ideal daily life routine which I aim to achieve.

Title : 불청객을 위한 초대 (Inviting the Uninvited Guest)

Artist : Jina Chang 

Year : 2023

Material / Medium : Acrylic on Canvas

Size of Artwork : 53x45.5㎝

Award : Bronze Medal

Description of Artwork :

  지구온난화가 일어나 세계 각 곳에 기후변화가 일어났다. 그중, 해온상승으로 인해 해파리의 개체 수가 갑작스럽게 늘어났다. 해파리는 많은 어민들에게 달갑지 않은 동물이며 여름철이면 해파리 쏘임 사고가 일어나 피서객들에게도 심각한 통증을 비롯한 피해를 입히기도 한다. 하지만 인간으로 인해 지구온난화가 발생하였고, 이로 인해 해파리 떼가 생겼났기에 우리는 해파리를 결코 원망할 수 없다. 지금까지 인간들은 지구온난화에 잘 적응해 왔지만, 지구온난화의 강도는 갈 수록 심각해지고 있다. 따라서, 머지 않은 미래에 들이 닥칠 일들을 인간들은 아마 적응하지 못할 것이다. 


Global warming has caused widespread disruption. Among these, the population of jellyfish has increased dramatically as water temperatures rise. Many fishermen dislike jellyfish, and during the summer season, they can cause jellyfish stings, causing significant agony and suffering to beachgoers. Jellyfish swarms have arisen as a result of human-caused global warming, thus we cannot blame the jellyfish. Humans have so far adapted successfully to global warming, but as it worsens, the repercussions become more severe. As a result, there are likely to be situations in the not-too-distant future to which humanity will be unable to adapt.

Title : 케이크 타운 속의 나 

Artist : Yery Kim 

Year : 2023

Material / Medium : Acrylic on Canvas

Size of Artwork : 45.5cm x 37.9cm

Award : Bronze Medal

Description of Artwork :

  이 그림을 처음 그리게 되었을 때, 나의 관심사는 케이크였다. 그래서 여러 종류의 케이크를 그리게 되었고, 그리다 보니 아파트처럼 케이크 타운이 만들어지게 되었다. 내가 좋아하는 사물 속에 내가 있는 모습을 표현하고 싶어서 케이크 타운 속에 있는 나를 그려 보았다. 그 속에서 다양한 표정과 포즈를 취하면서 나만의 방식으로 케이크 타운에 있는 나를 표현하였다. 그리고 다양한 케이크의 모양과 케이크의 토핑이 있는 환경 속에서 변화하는 나의 다양한 모습을 다양하고 재밌는 관점으로 표현해 보려고 하였다.

Title : Beauty of Aging (늙음이란 아름답다) 

Artist : Hyeju Ha 

Year : 2023

Material / Medium : Acrylic paint on canvas

Size of Artwork : 53 x 45.5 cm

Award : Bronze Medal

Description of Artwork :

  첫 눈에 압도하는 붉은색을 중심으로 남색과 갈색이 중첩되어 심오하고 몽환적인 분위기를 자아낸다. 각각의 색은 인생의 다양한 순간과 감정, 그리고 그것들 사이에서의 조화를 나타낸다. 나는 어렸을 적부터 나를 키워주신 할머니의 나이 듦을 가장 옆에서 지켜보며 느꼈던 감정을 천 캔버스에 녹아냈다. 이 작품에 주인공이라고 정의 되는 이 의자는 초기의 완전함을 점차 변화하고 녹아들며, 그 과정 속에서 인간의 삶의 변화와 적응, 그 속에서의 우리의 불안과 확신, 기쁨과 슬픔을 동시에 느낄 수 있다. 이 의자의 완전한 모습을 인간이 태어났을 때의 첫 모습으로 연상시키고 나이에 변화가 올수록 의자는 불확실성과 적응의 힘과 함께 녹아버린다. 그 뒤, 자신이 태어났던 자연인 하늘로 돌아감을 빗대어 표현한다. 나는 이를 통해 우리에게 삶의 소중함과 함께 그 속에서의 변화와 적응하는 것의 중요성을 깨닫게 한다.

Title : cube 

Artist : Hajin Shin 

Year : 2023

Material / Medium : Acrylic

Size of Artwork : 58 x 48 (cm) 

Award : Bronze Medal

Description of Artwork :

 이 작품은 여러 인종들의 사람들과 다양한 모습의 사람들의 얼굴 한 부분을 큐브안에 대입하여서 현대 사회의  빠른 변화를 큐브라는 다양한 조합이 나오는 물건안에서 사람들 또한 변화 하는 과정을 적응해나가는것을 표현했다. 그리고 이러한 변화 속에서 적응하지 못한 큐브 조각들도 바닥에 흘러내려 가는것을 표현하면서 부적응자도 존재한다 라는 것을 표현했다.

Title : outcome 

Artist : Yoon Seo Yang 

Year : 2023

Material / Medium : Acrylic paint on canvas

Size of Artwork : 53 x 45.5 cm

Award : Bronze Medal

Description of Artwork :

  The topic of this artwork is 'Change and Adaptation' and I expressed it with the books. The books that are closed means adaptation of my life. The books that are opened mean changes in my life. The closed books are that I learned before and the books that are opened are that I am still learning. Hence, all of the books' names are the subject's name that I learned and are learning now in my life. The title is 'outcome' because change and adaptation are an important and a large part of the outcome.

Title : The darkest bright shade 

Artist : Jisoo Yoon 

Year : 2023

Material / Medium : Acrylic paint on canvas

Size of Artwork : 45.5cm x 37.9cm

Award : Bronze Medal

Description of Artwork :

  By depicting myself standing in front of a wall adorned with vibrant graffiti art during the challenging period of COVID-19, I wanted to recall the version of myself who tried to look for hope in the darkest and most challenging time. The place used as a background of this work had stickers and posters overlaid each other and created an impressive scenery.

Title : Ocean's Hidden Struggles 

Artist : Jean Kim 

Year : 2023

Material / Medium : Acrylic paint on canvas

Size of Artwork : 53 x 45.5 cm

Award : Bronze Medal

Description of Artwork :

  This artwork shows the intricate world beneath the ocean's surface, separate from yet profoundly affected by human activities. It portrays a sea turtle as a symbol of adaptation to the challenges posed by global warming. Escaping the hot temperatures on the land, the turtle seeks refuge in the relatively cooler ocean. The sand, branches, and seaweed, accompanied by water bubbles near the turtle, signify its recent entry into the water, capturing a transitional moment. There is a strong contrast between the upper and lower layers of coral reefs. Once vibrant and colourful, the upper coral layer has weakened and lost its former liveliness. This transformation symbolises the impacts of global warming as rising temperatures bleach the coral reefs. The intense sunlight heats the corals in the upper layer up even more, making corals in the lower layer livelier. The challenges of marine life due to the environmental shifts brought by human actions are shown in this work.

Title : Pressure 

Artist : Eunice cho 

Year : 2023

Material / Medium : Acrylic paint on canvas

Size of Artwork : 53 x 45.5 cm

Award : Bronze Medal

Description of Artwork :

  우리 사회에서 어떠한 변화가 일어나면 빨리 적응 하는 자들과 적응 하지 못하는 자들로 나뉜다. 이 작품은 겉보기에는 채도가 높고 강한 색감을 위주로 쓴것 같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알 수 없는 괴리감이 느껴진다. 이것을 통해 나는 변화의 과정을 겪으면서 적응하는 자들과, 적응하지 못하는 자들의 경계를 표현하고 싶었다.

어항속에서 갇혀 사는 붕어들은 적응하지 못하는 자들을 의미하며  어항 바닥을 직접 밟고 있는 다양한 신발의 모습을 한 인종의 사람들은 적응을 빠르게 받아들이고 살아가는 사람들을 상징한다. 이러한 변화에 상대적으로 잘 적응한 사람들은 그들의 의도와는 별개로 다양한 모습으로 적응 하지 못하는 자들을 압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새로운 환경에서 쉽게 적응하지 못한 자들이 사회에서 어떠한 요구되는 기준점에 맞춰야 하는 상황을 직면할 때 그들은 사람들의 압박과 부담감을 느낄수 있다.

이 그림에서 물고기들이 한 방향으로 바라보고 경직된 채 이동하고 있는데 이것은 새로운 변화에 별다르게 적응할 방법이 없어서 자유를 누리지 못하고 포기하고 살아가는 사람들을 의미한다. 그들은 적응을 하고 싶어 노력하고 발버둥을 치지만 어항을 탈출하지 못해 결국 경계를 쉽게 벗어날 수 없으며 어항 속의 물은 탁하고 어둡다. 어항 속의 물고기들은 어항밖의사람들에게 도움을 청하고 있지만, 사람들은 그들의 고립된 힘든 상황을 외면한다. 사회에서 도태된 자들을 바라볼 수 있는 작은 관심이 절실히 필요하다.

COPYRIGHTS© 2025 MYSLIDE. ALL RIGHTS RESERVED.

Regarding Homepage System Issue : admin@myslide.org


Subscribe to EMAIL and receive the latest news from MySLide.